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태양광관련] 주택용 태양광 결선도 / 주택 태양광 결선

by 태양광 윤대리 2023. 10. 15.

주택용 태양광 결선도

안녕하세요. 태양광 윤대리입니다.

오늘은 주택용 태양광 결선도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아래, 태양광 결선 계통도입니다.

정부사업 중, 대여사업과 같이 모니터링이 포함된 경우, 모니터링 계량기가 포함합니다.

그 외에는 모니터링 계량기, 통신모뎀은 설치되지 않습니다.

 

자 아래에 주택용 태양광 설비 결선도를 그려보았습니다. (모니터링은 생략가능합니다.)

 

아래는 잘못된 결선도입니다.

차단기 결선은 반드시 '계통'이 1차측 이어야 하고, '부하'가 2차측 이어야 합니다.

'인버터가 전기를 생산하니까 '전원'으로 취급해야 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상황에 따라 인버터를 '전원'으로 취급하기도 합니다.

실제로, 인버터 내부에 존재하는 릴레이, 차단기는 1차측이 태양광방향, 2차측이 계통방향입니다. 

하지만, 계통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구간은 '안전상의 이유로' 1차측을 계통방향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잘못된 결선도

 

알아두면 도움되는 내용!

*2023년부터, 태양광차단기는 '누전차단기'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2018년 이후부터, 차단기 1차측, 2차측 결선방향은 반드시 지켜주셔야 합니다.

*주택용 두꺼비집 내 메인차단기와 계통차단기의 용량은 동일하게 맞추어야 합니다.

*되도록 차단기에 전선삽입 시, 핀터미널을 이용을 권장합니다.

  └ 특히 계통차단기 2차측에는 전선 2개가 하나의 단자에 연결되므로 핀터미널을 이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냥 전선을 넣고 고정시키면 노출면적이 커져서 저항이 커지고, 결국 열화에 의해 차단기 수명이 짧아집니다.

 

 

 


이상으로 블로그를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